영웅 공략: D.VA
- 이 공략을 평가해 주세요
- 인벤 여러분이 평가한 이 공략의 평가는?
-
짜임새 있는 구성이네요, 강추!투표그리 좋은 구성이 아니네요. 비추!투표
-
추천 : 18 / 비추천 : 3이 공략을 평가해주세요.
D.VA - 아이헨발데 공격/수비
만능 올라운더 디바! 한번쯤 읽어볼만한 공략!
작성자 : Night스토커 | 작성/갱신일 : 2016-09-19 02:42:53 | 조회수 : 12845
작성자 : Night스토커 | 작성/갱신일 : 2016-09-19 02:42:53 | 조회수 : 12845
머리말
FPS라고는 팀포만 하던 블챙인 제게 블리자드님이 오버워치 베타라는 선물을 선사하신 이후로 가장 정이 가던 캐릭터가 디바였기에 공략을 써봅니다. 자주 게임을 하는 건 아니라서 평점이 높은것도, 칭찬만 들으면서 디바를 하는것도 아니지만 제 등급대에서는 굉장히 잘하는 디바(4금을 자주 얻음)라고 생각하여 공략을 써 봅니다.
좋은 에임은 필수라고 생각하면서 작성합니다.
NightStalker#3346, 현재 등급전은 2474점 골드입니다.
추천 조합
- 추천조합~
- 추천조합 2
다만 어디까지나 서브탱커인만큼 라인하르트, 로드호그나 자리야 등 팀의 수비를 책임질 수 있는 탱커는 필수적입니다.
영웅 상성
운용법
팀에서 디바의 역할은 굉장히 유동적입니다. 탱커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와 500의 체력으로 든든한 탱커가 될 수 있고, 딜러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의 기동성으로 교전거리를 줄인 뒤 근접에서
로 적을 분쇄하는게 가능하죠.
융합포입니다. 재장전이 필요 없으며 공격속도가 매우 빨라, 근거리에서 모든 산탄을 적 하나에게 맞춘다는 가정 하에 초당 168 데미지를 입힐 수 있습니다. 원거리에서도 덩치가 큰 탱커나 딸피로 도망치는 적에게는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다만 공격중에는 메카의 이동속도가 느려지니 난사는 하지 말고 적절한 끊어쏘기가 필요합니다.
부스터입니다. 만능 이동기로, 적에게 충돌 시 25 데미지를 주며 밀쳐냅니다. 부스터와 매트릭스만으로도 적의 진영을 헤집어 놓을 수 있으며, 적절한 위치에서는 적을 밀쳐 낙사시키며, 궁극기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도 있죠. 1대1 교전 시에 약한 적에게는 돌진기가, 강한 적에게는 탈출기로 사용 가능하죠. 다만 적의 체력이 반쯤 남은 상태라면 충돌 시 25데미지를 입히며 밀쳐 탈출을 돕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충돌 직전에 융합포를 쏴서 근접만 한 뒤 피떡을 만드는 게 중요합니다.
방어 매트릭스입니다. 모든 투사체를 증발시키며, 디바를 진정한 탱커로 만들어 주는 스킬이죠. 충전 없이 4초 사용 가능하며 범위가 애매하다는 점을 고려하시면서 쓰면 되겠습니다. 디바를 공격하는 입장이라면 디바의 다리나 팔쪽 끝을 공격하면 매트릭스가 닿지 않는 부분에 약간의 피해를 넣을 수 있습니다. 패치 이후 충전이 느려진 만큼 자주 끊어 쏘기보다는 한번에 4초를 유지해 안전하게 피한 후 재충전 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적이 재장전을 할 때는 빠르게 매트릭스를 풀고 공격하는게 중요합니다.
궁극기, 자폭입니다. 핵폭탄 그 자체이며, 메카 탈출 직전에 사용 가능하며, 자폭 후에는 즉시 로봇호출이 가능한 "사기" 궁극기입니다. 적이 밀집한 곳에 부스터를 키고 날려버려도 좋고, 난전 시 적 틈에 들어가 싸우다가 메카 탈출 시 궁을 켜서 몰살시키는게 가능합니다. 적 젠야타 궁 효과를 받는 적들도 순간데미지로 처리 가능하지만 라인의 방패, 루시우 궁, 자리야의 방벽은 한번에 뚫을 수 없습니다.다른 공략에서 좋은 위치선정이 많음으로 위치선정은 넘어가겠습니다.
광선총입니다. 융합포에 버금가는 연사력과 14데미지, 빠른 재장전으로 원거리 저격수를 역저격 할 수도 있고, 맨몸이라고 얕보는 탱커, 딜러, 힐러들을 점프와 무빙으로 없애버릴 수 있습니다. 14데미지가 굉장히 강력한 편은 아니니 적의 머리를 최대한 조준하면서 계속 좌우로 회피하고 근접시에는 적절한 근접공격도 필요합니다. 숙련된다면 겐지나 리퍼정도는 잡는게 가능합니다. 아군과 적이 대치중이라면 솔져처럼 사격지원을 하며 궁극기를 충전합시다.
로봇 호출입니다. 맨몸상태로 생존하면서 팀에게 추가화력을 제공하거나 당당하게 적과 1대1 교전하며 이기면 뜨는 궁극기죠. 사용 시 공중에서 메카가 소환되며 근접한 적에게 50 데미지를 주며 앞과 측면의 공격을 메카가 대신 입습니다. 되도록이면 안전한 상황에서 사용하며 필요시에는 바로바로 써주도록 합시다.



- 스킬 설명(메카)




- 메카 탈출 직전과 탈출 시
- 메카 탈출 후


전장심화
- 적 영웅과의 교전 시






로드호그는 갈고리에 걸리지만 않으면 쉽게 이길 수 있고, 갈고리에 걸리면 매트릭스를 키고 로드호그를 바라보면서 뒷걸음치면 쉽게 탈출할 수 있습니다.
루시우는 어려운 상대도 아니고 루시우의 공격도 매트릭스로 막을 수 있습니다. 다만 루시우가 빙글빙글 돌면서 에임을 방해하니 거리를 약간만 벌리고 녹여버립시다.
메르시는 부스터로 쫒아가면서 잡아주시면 됩니다.
바스티온은 보이면 매트릭스로 공격 막아주시면서 팀의 화력유도를 해주시면 됩니다. 정 팀이 안도와준다면 지형을 이용하면서 뒤, 위에서 공격하면 됩니다. 다만 매트릭스 키고 돌진하면 매트릭스 끄자마자 디바가 녹아버립니다.
솔져는 리퍼와 비슷하게 탄 25발과 로켓 매트릭스로 막으면서 부스터로 근접 후 녹여주시면 됩니다. 다만 달리면서 도망치는 솔져 부스터로 밀쳐버리면 더 잡기 힘들어지니 도망치는 솔져는 밀치기 직전에 부스터를 꺼주시면 됩니다.
시메트라는 포탑만 녹이면 쉬우니 패스하겠습니다.
아나는 모든 공격과 스킬이 매트릭스로 막아지므로 기본공격보다는 수면총을 매트릭스로 막은걸 확인하고 근접해 녹이시면 쉽습니다.
위도우메이커는 원거리에서 조종석을 맞으면 굉장히 아프지만, 그대로 탄 궤적 확인 후 매트릭스 키고 부스터로 돌진하면 쉽게 이깁니다.
윈스턴의 전기공격은 막을 수 없지만, 디바의 융합포가 훨씬 강력하니 윈스턴의 방벽에서 멀리 유도하거나, 방벽을 녹이거나, 방벽 안에서 싸우면 쉽게 이깁니다.
정크랫이 공격은 밝게 표시되어 디바가 막기도 쉬우며, 던지는 지뢰도 매트릭스로 막는게 가능하므로 정크랫의 덫과 사망시 나오는 폭탄만 조심하면 됩니다.
토르비욘의 포탑은 매트릭스로 방어하면서 부스터로 근접해서 몇발 쏴주면 순식간에 터집니다. 토르비욘 자체는 망령화 없는 리퍼와 싸우듯 하시면 됩니다.
약간 애매한게 트레이서인데, 트레이서의 공격을 막으면서 팀에게 빠르게 합류하는게 좋습니다. 트레이서가 디바 주위를 돌면서 공격하면 로봇이 순식간에 녹아버리고 디바의 공격을 받아 피가 빠진 트레이서는 빠르게 역행해 피채우고 디바 끝내버립니다. 최대한 머리를 공격해 바로 녹여버리는게 좋습니다. 팀과 합류했다면 펄스건과 펄스폭탄을 매트릭스로 막으면서 팀의 좋은 에임을 기대합시다.
파라가 지상에 있다면 매트릭스+부스터로 근접해 머리를 쏴 끝장내시고, 공중에 있다면 배트릭스와 부스터를 켜서 파라의 약간 위에서 파라 머리에 융합포 발사하면 파라가 일방적으로 녹습니다. 파라 궁극기도 매트릭스도 잘 막아주세요.
한조는 한발씩 쏴대므로 매트릭스로 잘 막아주시고 근접해서 녹여주시면 됩니다. 다만 갈래화살이 좁은 곳에서 적중하면 메카가 쉽게 터지니 매트릭스로 잘 막아주시는게 중요합니다.
젠야타는 구슬만 잘 막으면서 근접하면 순식간에 녹이는게 가능합니다.
그리고...



우선 자신이 체력이 낮으면, 부스터로 적 디바를 밀치고 나서 마우스를 확 돌려 도망가는게 중요합니다. 만약 적 디바의 에임이 구리다고 생각되거나, 자신이 체력이 더 많다면 융합포 갈기시면 됩니다. 다만 적 디바가 매트릭스를 킨다면 부스터로 확 접근해서 매트릭스조차 보호하지 못하는 거리에서 녹이시면 됩니다. 또 무조건 계속 약간씩 움직이면서 적 디바의 조종석을 공격해주세요. 움직이면서 자신의 조종석을 가려주면서 적의 조종석에 탄 퍼부으면 이길겁니다.
추가 설명
처음 써보는 공략이라 잘 썼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디바를 좋아하는데 디바가 어려운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여 적어보았습니다. 언제든지 친추 후 채팅 하셔도 좋습니다. (NightStalker#3346) 댓글로도 질문이나 추가 얘기 환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전장의 다른 공략
- 작성자의 다른 공략
코멘트
코멘트(0)